WHO "부스터샷, 최소 9월 말까지 중단을"..미국은 즉각 반대
美 "각국 접종 확대와 부스터샷 동시 가능..양자택일 문제 아냐"

그는 이날 화상 언론 브리핑에서 "지금까지 세계적으로 40억 회분 이상의 백신이 투여됐고, 이 중 80% 이상이 세계 인구의 절반도 안 되는 중상위 소득 국가에 돌아갔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지난 5월 WHO가 각국 인구의 최소 10%가 9월 말까지 백신을 맞게 하자고 제시한 목표를 재차 강조했다.
그는 "5월에 고소득 국가는 인구 100명당 약 50회분의 백신을 접종했는데, 그 이후 두 배가 돼 지금은 거의 100회분"이라며 "그 사이 저소득 국가는 100명당 1.5회분만 투여할 수 있었다"고 개탄했다.
테워드로스 사무총장은 "델타 변이로부터 자국민을 보호하고자 하는 모든 정부의 염려를 이해한다"면서도 "세계에서 가장 취약한 사람들이 보호받지 못하는 가운데 이미 전 세계 백신 공급의 대부분을 사용한 국가들이 그것을 더 사용하는 것을 받아들일 수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고소득 국가로 가는 백신 대부분을 저소득 국가로 가게 하는 전환이 시급하다"며 전 세계 백신의 공급을 통제하는 소수의 국가와 기업들에 협조를 당부했다.
그는 특히 한 달 뒤 예정된 주요 20개국(G20)의 보건장관 회의를 언급하며 "코로나19 대유행의 진로가 G20의 리더십에 달려 있다고 말해도 과언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테워드로스 사무총장의 요청은 미국 등을 겨냥한 것으로 보이지만 미국은 즉각 부정적 입장을 보였다.
젠 사키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우리는 확실히 잘못된 선택으로 느낀다. 우린 (각국 접종 확대와 부스터샷 접종) 둘 다 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미 식품의약국(FDA)이 부스터샷을 권고하기로 결정할 경우 미국에 충분한 백신 물량이 있을 것이라며 "양자택일의 문제는 아니라고 본다"고 거듭 강조했다.
조 바이든 행정부는 공식적으로 부스터샷이 필요없다는 입장이었지만 고령층과 면역 취약층 등을 대상으로 한 부스터샷 필요성을 검토하고 있다.
바이든 행정부는 지금까지 1억1천만회분의 백신을 전세계에 기부했으며 내년까지 5억회분을 내놓겠다는 방침이다.
<저작권자 ⓒ 뉴스젠,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조영주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