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 다니지 ‘내 집’ 없지, 애는 누가 키우라고?”.. ‘맞벌이 무자녀’ 더 늘었다
젊은 맞벌이 부부 열 쌍 중 네 쌍은 자녀가 없는 '딩크(Double Income No Kids·맞벌이 무자녀 가정)'인 것으로 조사됐다.
12일 한국노동연구원(KLI)의 '지난 10년간 무자녀 부부의 특성 변화'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노동패널 자료 분석 결과 2022년 기준 가구주가 25~39세인 청년층 기혼 가구 중 27.1%는 무자녀 부부였다. 2013년(22.2%)부터 꾸준히 증가 추세다.
맞벌이 부부의 경우 무자녀 비중은 더욱 높았다. 청년층 맞벌이 부부의 무자녀 비율은 2013년 21.0%에서 2022년 36.3%로 15.3%포인트 증가했다.
반면 홑벌이 부부의 무자녀 비중은 2022년 13.5%로, 맞벌이 부부의 3분의 1 수준이었다. 2013년 12.3%와 비교해 큰 변화가 없었다. 또 무자녀 부부 중 아내가 취업 상태인 비율이 2013년 53.2%에서 2022년 71.0%로 17.8%포인트 증가했다. 반면 유자녀 부부 아내의 취업 비중은 10년 사이 36.6%에서 40.6%로 4.0%포인트 늘었다. 한국노동연구원은 "여전히 직장 업무와 출산·양육 양립의 어려움으로 경제활동을 포기하는 경우가 유자녀 부부에게 많음을 짐작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자녀 유무에 따라 부동산 보유도 차이를 보였는데, 유자녀 부부 자가 보유 비중은 52.0%로 무자녀 부부의 자가 보유 비중(34.6%)에 비해 높았다. 권익성 노동연구원 책임연구원은 "무자녀 부부의 출산을 장려하기 위해서는 주거 지원 확대가 필요해 보이며, 일·가정 양립을 촉진할 수 있는 지원 확대와 무자녀 부부 아내의 노동시장 특징별로 출산 유인을 높일 수 있는 맞춤형 정책이 강화될 필요가 있어 보인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젠,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우성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