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선 정상화 방침에도.. 업계 "항공편 턱없이 부족"

단계적 증편으로 11월에야 코로나 이전의 50% 수준

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2년 만에 국제선 운항 정상화에 나섰지만, 항공사들은 연말은 돼야 휴업 직원들이 일부 복귀를 시작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정부의 항공편 공급 계획이 여전히 턱없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항공사들은 정부가 여객 수요에 맞춰서 유동적으로 항공편 공급량을 늘려야 한다고 호소했다.


▲지난 4월 1일 오전 인천국제공항 제1터미널 출국장이 해외 여행을 떠나려는 여행객들로 붐비고 있다.

8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국토교통부는 지난 6일 이른바 ‘국제선 운항 정상화 계획’을 통해 국제선 공급량을 연말까지 단계적으로 늘리겠다고 밝혔다. 우선 오는 5월부터 국제선 정기편을 주 420회 운항에서 다음 달 5월 520회, 6월 620회로 늘리겠다는 계획이다. 7월부터는 주 300회씩 증편해 오는 11월에는 코로나19 사태 이전의 50% 수준인 주 2420회까지 늘어날 전망이다.


하지만 정부의 항공편 증편 계획에도 휴업 직원 복귀를 검토하는 항공사는 아직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공업계 관계자는 “단계적으로 객실 승무원의 휴무 일정을 줄일 수는 있겠지만, 전체 휴업 직원들을 복귀시키기엔 항공편 공급량이 턱없이 부족하다”고 말했다. 휴가철인 오는 7월 정부가 국제선 항공편을 주당 920회까지 늘려도, 코로나19 이전 수준(4840회)의 5분의 1수준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이 관계자는 “정부의 계획대로라면 현재 인력만 가지고도 충분히 운항할 수 있는 상황”이라며 “코로나19 이전 수준의 50%까지 회복하는 연말은 돼야 휴직 직원들이 복귀를 시작할 수 있다”고 말했다.

현재 대한항공(003490)을 포함한 대부분의 국내 항공사는 전체 직원의 60~70%가 휴업 중이다. 항공사별로 휴업 규모는 다르지만, 일부 저비용항공사(LCC) 중에선 객실 승무원 3명 중 2명이 휴직 중인 항공사도 있다. 현재 휴업 중인 직원들은 정부로부터 평균 임금의 약 70%인 고용유지 지원금을 받고 있는데, 오는 6월 말이면 지원이 종료된다. 이후에는 무급 휴직으로 전환된다. 월 평균 임금의 50% 수준으로 지원 규모가 떨어지며 월 최대 지급 규모도 198만원으로 제한된다. 한 LCC 관계자는 “외벌이 직원들은 생계 유지를 위해 대리운전과 같은 ‘투잡’을 뛰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항공사들은 월별로 항공편 공급 계획을 한정하지 말고, 여객 수요에 맞춰 유동적으로 항공편을 늘려야 한다는 입장이다. 실제로 지난달 정부에서 해외 입국자에 대한 자각 격리 면제 조치를 실시한 뒤, 항공편 탑승률이 만석에 가까운 수준을 보이고 있다. 아시아나항공(020560)에 따르면 이달 초 재개한 인천~하와이 노선의 탑승률은 80%를 기록했다. 아시아나항공 관계자는 “정부의 자가격리 해제 계획 발표 이후 지난 3주간 예약률이 2배 이상 증가했을 정도로 해외 여행 문의가 늘어나고 있다”고 말했다.


이번 항공편 증편 계획과 방역 완화 조치가 병행돼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정부가 자가 격리 면제 조치를 실시했으나, 여전히 백신 접종을 강제할 수 없는 미성년자와 의학적 사유로 인한 미접종자는 7일간의 격리가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현재 정부는 백신 접종자에 한해서만 자가 격리를 면제해주고 있다. “융통성 있는 출입국 규정을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는 이유다.

항공업계는 입국 시 PCR(유전자 증폭) 검사 의무를 해제하는 방안도 촉구하고 있다. 대한항공 일반노조는 “휴업 중인 노동자들이 제자리로 돌아가기 위해선 여객 산업 회복이 필수인데, 방역 정책이 발목을 옥죄는 꼴”이라며 “사실상 유명무실해진 입국 시 PCR 검사를 면제해야 항공산업이 살고 노동자가 산다”고 밝혔다.

업계에 따르면 현재 프랑스, 독일을 비롯한 유럽 국가들과 캄보디아와 베트남 등에서 PCR 음성확인서 제출을 면제하고 있다. 다만 방역 당국은 “방역상황 자체가 크게 변동되지 않는 한 입국 전 PCR 검사를 계속 유지할 방침”이라는 입장이다.

<저작권자 ⓒ 뉴스젠,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우성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