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127만명·고령자 166만명 '나 혼자 산다'
통계청, 2020년 인구주택총조사 결과 발표
1인가구 3분의1 아파트 거주…고령 1인가구는 절반이 단독주택
우리나라 10가구 중 6가구는 가구원수가 2인 이하인 것으로 집계됐다. 1인가구가 차지하는 비중이 증가하는 가운데 고령화로 인해 고령자 1인가구도 빠르게 증가하는 추세다.
통계청이 29일 발표한 '2020년 인구주택총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기준 우리나라 총 가구는 2148만 가구로 2019년 대비 59만 가구(2.8%) 증가했다.
가구원 규모를 보면 일반가구 10가구 중 6가구는 가구원수가 2인 이하였다. 2020년 1인가구는 전체 가구의 31.7%로 가장 많았다. 이어 2인 가구(28.0%), 3인가구(20.1%), 4인가구(15.6%), 5인 이상 가구(4.5%) 순이었다. 1년 전과 비교하면 1인 가구는 1.5%포인트 증가한 반면 4인 가구는 0.6%포인트, 5인 이상은 0.5%포인트 감소했다.
1인 가구의 증가세는 가파르다. 2000년 전체 가구의 15.5%를 차지했던 것과 비교하면 20년 만에 2배 증가했다.
이에 따라 평균 가구원수도 2000년 3.12명에서 2020년에는 2.34명으로 감소했다.
1인가구의 연령별 비율은 20대가 19.1%로 가장 컸다. 20대 1인가구는 2019년 112만 가구에서 2020년에는 127만 가구로 가장 크게 증가했다. 이어 70세 이상이 18.1%로 뒤를 이었다. 1인가구 중 남자는 30대(21.6%), 여자는 70세 이상(27.5%)의 비중이 높았다. 시도별 1인가구 비율은 대전이 36.3%로 가장 높고 경기가 27.6%로 가장 낮았다.
65세 이상 고령자가 증가하면서 고령자만 있는 가구도 296만5000가구로 2019년 대비 9.0% 증가했다. 이 중 166만1000가구는 혼자 사는 고령가구로 전년 대비 8.3% 늘었다. 지역별로 고령자가 있는 가구 비율은 전남이 39.0%로 가장 높았다. 전남은 고령자만 있는 가구 비율(22.9%)과 고령자 1인가구 비율(13.8%)도 모두 전국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전체 1인가구를 기준으로 보면 아파트에 거주하는 비율이 32.0%로 가장 높지만 고령자 1인가구는 46.2%가 단독주택에 거주했다.
15세 미만 인구는 전년 대비 13만6000명(-2.2%) 감소한 반면, 65세 이상은 46만명(5.9%) 증가했다. 65세 이상 고령 인구는 820만6000명으로 유소년(0~14세) 인구 617만6000명보다 203만명 많았다. 이에 따라 노령화지수는 132.9로 2019년(122.7)에 비해 10.1 증가했다. 노령화지수는 14세 이하의 어린이 인구에 대한 65세 이상 노인 인구의 비율이다.
인구증가율은 둔화됐다. 우리나라에 거주하는 외국인을 포함한 총 인구는 5182만9000명으로 전년 대비 5만명(0.1%) 늘었다. 인구는 2015년 2.7% 증가한 이후 5년 연속 0%대 증가율에 머물고 있다.
수도권(서울·인천·경기) 집중 현상도 뚜렷해지고 있다. 수도권 인구는 2019년(2589만3000명)에 비해 0.6% 증가한 2604만3000명으로 전체 인구의 50.2%를 차지한다. 전체 주택의 46.1%인 854만3000호도 수도권에 위치했다. 이는 2019년 대비 21만5000호(2.6%) 증가한 수치다. 주택이 가장 많이 증가한 시도는 경기도(14만호)와 서울(6만호)로 나타났다.
다만 경기도는 21만5000명 증가했으나 서울과 인천은 각각 5만1000명, 7000명 감소해 수도권 내에서도 경기도로의 움직임이 두드러지는 현상이 나타났다.
통계청이 29일 발표한 '2020년 인구주택총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기준 우리나라 총 가구는 2148만 가구로 2019년 대비 59만 가구(2.8%) 증가했다.
가구원 규모를 보면 일반가구 10가구 중 6가구는 가구원수가 2인 이하였다. 2020년 1인가구는 전체 가구의 31.7%로 가장 많았다. 이어 2인 가구(28.0%), 3인가구(20.1%), 4인가구(15.6%), 5인 이상 가구(4.5%) 순이었다. 1년 전과 비교하면 1인 가구는 1.5%포인트 증가한 반면 4인 가구는 0.6%포인트, 5인 이상은 0.5%포인트 감소했다.
1인 가구의 증가세는 가파르다. 2000년 전체 가구의 15.5%를 차지했던 것과 비교하면 20년 만에 2배 증가했다.
이에 따라 평균 가구원수도 2000년 3.12명에서 2020년에는 2.34명으로 감소했다.
1인가구의 연령별 비율은 20대가 19.1%로 가장 컸다. 20대 1인가구는 2019년 112만 가구에서 2020년에는 127만 가구로 가장 크게 증가했다. 이어 70세 이상이 18.1%로 뒤를 이었다. 1인가구 중 남자는 30대(21.6%), 여자는 70세 이상(27.5%)의 비중이 높았다. 시도별 1인가구 비율은 대전이 36.3%로 가장 높고 경기가 27.6%로 가장 낮았다.
65세 이상 고령자가 증가하면서 고령자만 있는 가구도 296만5000가구로 2019년 대비 9.0% 증가했다. 이 중 166만1000가구는 혼자 사는 고령가구로 전년 대비 8.3% 늘었다. 지역별로 고령자가 있는 가구 비율은 전남이 39.0%로 가장 높았다. 전남은 고령자만 있는 가구 비율(22.9%)과 고령자 1인가구 비율(13.8%)도 모두 전국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전체 1인가구를 기준으로 보면 아파트에 거주하는 비율이 32.0%로 가장 높지만 고령자 1인가구는 46.2%가 단독주택에 거주했다.
15세 미만 인구는 전년 대비 13만6000명(-2.2%) 감소한 반면, 65세 이상은 46만명(5.9%) 증가했다. 65세 이상 고령 인구는 820만6000명으로 유소년(0~14세) 인구 617만6000명보다 203만명 많았다. 이에 따라 노령화지수는 132.9로 2019년(122.7)에 비해 10.1 증가했다. 노령화지수는 14세 이하의 어린이 인구에 대한 65세 이상 노인 인구의 비율이다.
인구증가율은 둔화됐다. 우리나라에 거주하는 외국인을 포함한 총 인구는 5182만9000명으로 전년 대비 5만명(0.1%) 늘었다. 인구는 2015년 2.7% 증가한 이후 5년 연속 0%대 증가율에 머물고 있다.
수도권(서울·인천·경기) 집중 현상도 뚜렷해지고 있다. 수도권 인구는 2019년(2589만3000명)에 비해 0.6% 증가한 2604만3000명으로 전체 인구의 50.2%를 차지한다. 전체 주택의 46.1%인 854만3000호도 수도권에 위치했다. 이는 2019년 대비 21만5000호(2.6%) 증가한 수치다. 주택이 가장 많이 증가한 시도는 경기도(14만호)와 서울(6만호)로 나타났다.
다만 경기도는 21만5000명 증가했으나 서울과 인천은 각각 5만1000명, 7000명 감소해 수도권 내에서도 경기도로의 움직임이 두드러지는 현상이 나타났다.
<저작권자 ⓒ 뉴스젠,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조영주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