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마다 알바가 사라진다..최저임금 '1만원' 시대, 편의점의 선택


최저임금 인상안이 결정될 때마다 편의점 점주들의 반발이 큰 가운데 무인 편의점 수가 매년 빠르게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부담이 커지자 편의점 점주들이 인건비를 아낄 수 있는 무인 편의점으로 점포를 전환하려는 것으로 해석된다.

10일 편의점 업계에 따르면 편의점 주요 4사(GS25·CU·세븐일레븐·이마트24)의 무인점포 수는 지난달 말 기준 2783개로 집계됐다. 2019년 기준 200여개에 불과했던 무인점포 수가 3년도 안 돼 14배가량 늘어난 셈이다.

GS25는 2020년 140개(완전 무인 12개, 하이브리드 128개)였던 무인 편의점 수를 지난달 기준 723개(완전 무인 77개, 하이브리드 646개)까지 늘렸다. 하이브리드 점포란 야간에만 무인으로 운영되는 점포를 말한다. GS25는 올해 무인점포 수를 250여개 더 확대해 운영한다는 계획이다.

CU도 2019년 90여개에 불과했던 무인편의점 수가 2020년 200여개, 2021년 300여개, 2022년 400여개 등으로 매년 100여개씩 증가하고 있다. 이 중 완전 무인 편의점은 2개 점포로 나머지는 대부분 '하이브리드' 점포로 운영되고 있다.

편의점 업계에서 가장 먼저 무인점포를 선보였던 세븐일레븐은 2017년 1개 점포로 시작해 현재 330여개 무인점포를 운영하고 있다. 무인점포를 처음으로 열었을 때만 해도 완전 무인점포 비중이 컸지만 지난해 하이브리드 매장 비중이 80%까지 늘어났다.

무인 편의점 확대에 가장 공을 들이는 곳은 이마트24다. 2019년 85개 점포로 시작해 지난해 1050개까지 늘렸다. 올해 상반기동안 280개 점포를 추가로 확대해 나머지 3사(CU·GS25·세븐일레븐)의 무인점포 수를 합친만큼 규모를 키웠다.


편의점 업계가 이렇게 무인점포를 매년 빠르게 늘리고 있는 이유는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인건비 때문으로 풀이된다. 최저임금은 문재인 정부 시절 급등해 2017년 6470원이었던 최저임금이 올해 9160원까지 늘었다. 보통 24시간으로 운영하는 편의점 사업 특성상 인건비에 민감할 수밖에 없는데 1만원대를 바라보고 있는 최저임금에 부담을 느낀 점주들이 무인점포를 찾고 있는 셈이다.

특히 올해 5%(직전년도 1.5% 인상) 인상이 예고됐던 2021년 무인점포 수는 그 어느 해보다 빠르게 증가했다. 편의점 4사 기준 2020년 말 기준 499개였던 무인점포 수는 2021년 2125개로 4배 이상 늘었다. 무인점포 운영은 점주들의 의지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점을 고려하면 최저임금 인상이 무인점포 증가에 영향을 준 것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단점도 있다. 무인점포의 경우 아직까진 주류·담배·의약품 등 판매가 어렵기 때문에 매출이 감소하는게 일반적이다. 편의점 업계가 잇달아 '무인 주류 자판기' 상용화 등 무인화 사업을 강화하는 것은 이런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서다. 이런 흐름대로라면 조만간 심야 시간에도 무인으로 주류·담배 등을 판매할 수 있게 될 것으로 보인다.

편의점업계의 무인점포 증가는 하반기에도 이어질 전망이다. 최저임금위원회가 내년도 최저임금 인상률을 올해보다 5% 오른 9620원으로 확정해서다. 편의점 점주들은 최저임금 인상률이 과도하다며 심야시간에 물품판매가격을 5% 인상하는 심야할증제도를 요구하는 등 반발하고 있다.

계상혁 전국편의점가맹점협회 회장은 "심야에 주류·담배 매출 비중이 큰 지역 편의점들은 아직 무인화가 어렵겠지만 아파트 단지나 오피스 등에 위치한 편의점들은 빠르게 무인화로 전환하고 있다"며 "최저임금이 계속 가파르게 오른다면 결국 모든 편의점이 무인화 되면서 20만명에 달하는 아르바이트생들도 일자리를 잃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젠,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우성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