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산업 시장 2025년까지 40조원 규모로 키운다
1000억 이상 전문기업 3개→10개...'1차 연구산업 진흥 기본계획'
1000억원 이상 전문기업 수는 3개에서 2025년까지 10개로 늘리고, 국산 연구장비 비중은 2021년 14.5%에서 2026년 20%로 끌어올린다.
연구산업이 주도하는 국가R&D 생산성을 혁신해 기술혁신 선도국가의 초석을 다지고, R&D 시장에서 민간·기업의 역량을 활용해 개방형 혁신을 촉진할 방침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30일 제41회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운영위원회에서 연구산업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제1차 연구산업 진흥 기본계획(2022~2026)’을 심의했다고 밝혔다.
이번 계획은 연구산업진흥법이 시행된 이후 수립된 첫 번째 법정계획으로, 그동안 기획위원회 운영과 공청회 등을 통해 산·학·연 관계자의 의견을 충실히 반영하고자 노력한 결과다.
과기정통부는 연구산업 기업의 기술역량 제고를 위해 단계별 R&D 지원모델을 설계하기로 했다.
또 추격형 방식에서 벗어나 미래 시장을 선점할 수 있도록 연구개발 신서비스 상용화와 차세대 연구장비 개발을 지원한다.
연구산업 수출 지원센터를 설립해 맞춤형 정보 제공, 해외수요 발굴·연계, 해외규격·인증 획득, 판로개척 등을 종합 지원한다. 연구산업 기업의 대형화를 위해 전용펀드 조성도 추진한다.
산업계 협·단체 등과의 협력창구 개설 및 연구산업 코디네이터 운영을 통해 연구개발서비스 수요 발굴채널을 다각화한다.
공공연구기관 및 소속 연구자를 대상으로 국산 연구장비·재료에 대한 인식을 높이며 구매를 우대해 신규 수요를 창출하고, 연구자·학생 대상으로 한 국산연구장비활용랩도 국내·외로 확대한다.
이 외에도 연구산업 수요-공급자 매칭을 촉진하기 위해 기존 바우처를 확대하며 국산 장비의 임대, 유지보수 비용을 지원하는 바우처를 신설할 계획이다.
온라인으로 연구개발 과정에서 필요한 R&D 서비스·제품을 거래할 수 있는 플랫폼, ‘연구산업 마켓플레이스’도 구축한다.
연구장비 성능평가 제도를 시행해 국산 제품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뿐만 아니라 평가결과를 장비 성능개선·고도화에 활용하도록 지원한다.
연구개발서비스 품질 보증을 위해서는 서비스 품질과 제공 역량이 뛰어난 기업을 ‘연구개발서비스 우수기업’으로 지정하고 해당 기업이 선도모델로 자리매김토록 후속 지원을 강화한다.
특히 연구산업을 활용한 우수성과를 확산하기 위해 기술이전과 시작품 제작 등 연구개발서비스를 활용한 공공기술 사업화 성공사례를 지속 창출한다.
연구산업이 지속 발전할 수 있도록 ‘연구산업 실태조사’를 2024년도까지 국가승인통계로 추진한다.
R&D 기획·관리 분야의 국가자격인 ‘(가칭)연구기획관리사’를 신설해 제도적 기반을 튼튼히 하고, 산·학 협력을 통해 연구산업 분야의 신규 우수인력을 대거 양성한다.
연구산업 기업과 그 지원기관 등이 집적된 지역을 특화분야를 설정해 ‘연구산업진흥단지’로 지정, 지역 주도 연구산업 생태계를 조성하고 연구산업을 지역의 미래먹거리로 육성한다.
특히 진흥단지가 글로벌 연구산업 거점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조성기→성장기→성숙기’ 등 총 12년에 걸친 성장주기에 따라 맞춤형으로 지원해나갈 계획이다.
오태석 과기정통부 제1차관은 “첫 법정계획을 기반으로 연구산업을 체계적으로 육성해 국내 기업의 역량강화와 성장을 견인하고, 연구자의 연구 몰입도를 높일 뿐만 아니라 장비·재료의 국산 비중도 높여나가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뉴스젠,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우성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