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금개혁 안 하면 90년생부터 국민연금 한 푼도 한푼도 못 받아”
한경연, 연금개혁 필요성 강조
현행 국민연금 시스템이 유지될 경우, 2055년부터 국민연금을 수령하게 될 1990년생은 한 푼도 못 받게 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급속한 고령화와 노인 빈곤 문제 등을 고려, 연금제도 개혁에 나서야 한다는 진단도 제기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은 13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와 통계청 데이터를 분석, 이런 내용의 조사 결과를 내놨다.
빠른 고령화 속도, 노인빈곤 문제, 국민연금 고갈 우려 등을 고려해 연금 개혁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현행 체계가 유지될 경우 오는 2055년 국민연금 수령 자격을 얻는 1990년생부터는 국민연금을 한 푼도 받지 못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경연이 13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통계 및 통계청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한국의 노인 빈곤율(66세 이상 인구 중 가처분소득이 전체 인구 중위 소득의 50% 이하인 사람의 비율)은 2020년 기준 40.4%로 OECD 37개국 중 1위로 나타났다.
G5 국가의 노인 빈곤율은 미국(23.0%), 일본(20.0%), 영국(15.5%), 독일(9.1%), 프랑스(4.4%) 등이다. 한국의 노인 빈곤율은 G5 국가 평균(14.4%)과 비교하면 약 3배에 달한다.
한국의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중은 2022년 기준 17.3%로 G5 국가들보다 낮지만 2025년에는 20.3%로 미국(18.9%)을 제치고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보인다. 이어 2045년에는 37.0%로 세계 1위인 일본(36.8%)을 추월할 것으로 점쳐진다.
반면 한국의 공·사적연금은 노후소득보장 기능이 충분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노후생활 주요 소득원을 비교한 결과, 한국은 국민연금·기초연금 등 공적이전소득 비중(25.9%)이 G5 국가 평균(56.1%)에 비해 현저히 낮고 사적연금·자본소득과 같은 사적이전소득 등(22.1%)의 공적연금 보완기능도 약하다.
한국은 G5 국가들과 달리 노후소득의 절반 이상(52.0%)을 근로소득에 의지했다. 은퇴 전 평균소득 대비 연금지급액 수준을 의미하는 공·사적연금 소득대체율의 경우도 한국은 2020년 기준 35.4%로, G5 국가 평균(54.9%)보다 훨씬 낮았다.
한경연은 우리나라 공적연금의 재정안정성 문제가 지속 제기되는 가운데 연금개혁이 당장 이뤄지지 않는다면 미래 세대에 막대한 세금 부담이 전가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국회예산정책처에 따르면 국민연금 재정수지(수입-지출)는 2039년 적자로 전환되고 적립금은 2055년에 소진될 전망이다. 국민연금 가입자 100명당 부양해야 하는 수급자 수는 2020년 19.4명에서 2050년 93.1명으로 5배가량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의 국민연금 체계가 유지되면 2055년 국민연금 수령 자격이 생기는 1990년생은 연금 고갈로 국민연금을 한 푼도 받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것이란 게 한경연의 관측이다.
<저작권자 ⓒ 뉴스젠,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우성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