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관계 후 증상 없었는데…한국도 '폭증' 무슨 병이길래?

▲ 매독균 관련 이미지

지난해 국내 매독(Syphilis) 환자 수가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매독 신고 체계 가동 이후 가장 많은 감염 수치다. 최근 미국·일본 등 해외에서의 매독 환자 증가세와도 연관성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16일 질병관리청의 감염병 통계 자료에 따르면 작년 한 해 연간 매독 환자는 2786명이었다. 10년 전(2014년 1015명)에 비해 3배 가까이 뛰었다. 해외에서 감염된 환자도 3.3%(93명) 있었다. 미국은 매독 감염 건수가 2022년 기준 20만건을 웃돌아 1950년 이후 최다였고, 같은해 일본에서도 1만3000명 이상 감염된 것으로 집계됐다.

기존 수치와의 단순 비교는 어렵다. 질병관리청은 “2024년 매독 신고 건수 증가는 표본감시 체계에서 전수감시 체계로 변경돼 나타난 현상”이라고 설명한 바 있다. 신고 항목도 늘어나 기존에는 표본감시 기관에서 1~2기와 선천성 매독을 주1회 신고하던 게 모든 의료기관에서 1~3기 및 조기 잠복, 선천성 매독을 진단 후 24시간 이내 신고하는 것으로 바뀌었다.

이를 감안해도 최근 매독 감염 증가세가 두드러진다. 전염성이 강한 대표적 성병인 매독은 감염 1기에서 보이는 피부 궤양의 형태가 매화 같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으로, 흔히 매독균이라 부르는 ‘트레포네마 팔리덤’(학명) 병원균 감염으로 발생한다.

매독 1기는 균이 침범한 부위에 발생하는 통증 없는 궤양이 특징. 성기 부위, 질, 항문, 직장 등에 주로 생긴다. 특별한 치료 없이 자연적으로 호전되기도 한다. 2기로 넘어가면 가려움 없는 피부 발진이나 발열, 인후통, 피로, 두통, 근육통 등이 나타난다. 3기는 장기와 중추신경계, 눈, 심장, 간, 뼈 등을 침범해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한다. 감염 후 장기간 잠복해 수십년이 지나 3기 매독으로 발현되는 케이스도 있다.

매독의 기원은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수간(짐승을 상대로 하는 변태적 성행위)을 통해 매독균이 사람에게 옮겨왔으며 콜럼버스의 신대륙 발견 이후 본격 전파, 15세기 유럽에서 광범위하게 퍼졌다는 설과 이미 구대륙에도 있었다는 가설로 나뉜다.


최근 국내에서는 매독 합병증 때문에 실명 위기에 놓인 사례도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제학술지 ‘성감염병(Sexually transmitted infections)’ 최신 호는 강북삼성병원 안과 송수정 교수, 창원삼성병원 안과 김은아 교수, 한양대 의예과 류수락 교수 공동 연구팀의 연구 결과를 올렸다.

연구팀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매독 환자 빅데이터(44만 8085명)를 분석한 결과 1.4%에서 매독균 감염으로 눈에 합병증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가장 흔한 합병증은 포도막염으로, 2010년 10만명당 0.18명이던 환자 수가 2019년에는 1.58명으로 9년 만에 8.7배나 늘었다.

매독성 포도막염은 매독 진단 후 평균 2~3년 후에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포도막에 염증이 생기면 주변 망막, 공막, 각막, 유리체 등이 함께 손상되고 백내장, 녹내장은 물론 심하면 실명까지 초래할 수 있다.

이번 연구에서 보면 30대 남성(남성 매독 환자 중 21.2%)과 20대 여성(여성 매독 환자 중 18.2%)의 포도막염 감염이 두드러졌다.

질병관리청은 “매독 등 성 매개 감염병 확진을 막으려면 성매매·즉석만남 등 위험한 성접촉을 피하고 감염이 의심되는 경우 비뇨의학과나 산부인과 등 가까운 병의원에서 바로 검사받아야 한다”고 당부했다.

<저작권자 ⓒ 뉴스젠,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우성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