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드코로나 시대' 눈 앞.. 길어지는 확진자 싸움에 “이제는 공존해야”··

정부 “위드 코로나, 1차 접종 90% 이상 완료돼야 검토”
집단면역과 유사한 개념, 사회적 논의를 통해 의미를 정립 필요
전문가 “백신 접종률 높이고 중증환자에 집중한 의료체계 있어야”

▲ 코로나19 브리핑하는 정은경 청장. [사진=연합뉴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가 2년 가까이 이어지고 있다.

국민 모두가 심적·경제적 고통을 감내하며 방역 수칙을 준수하고 있지만, 4차 대유행이 본격화하면서 종전 ‘최다 확진 기록’을 갈아치우는 등 상황이 나아지기는커녕 악화하고 있다.

29일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신규 확진자가 1619명 늘어 누적 24만8568명을 기록했다. 하루 확진자는 지난달 7일(1211명)부터 54일 연속 네 자릿수가 이어지고 있다. 2000명을 웃돌았던 사상 최다 확진자 수보다는 다소 적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의 확진자 발생을 나타내고 있다.

전 세계 각지에서는 변이 바이러스가 속출하면서 백신의 효능이 무력해질 가능성까지 커지고 있다. 국민들이 오랫동안 수 많은 불편과 경제적 어려움을 감수하고 있지만 확산세가 좀처럼 꺾이지 않는 이 모순적 환경에서, 두 달 넘게 이어지는 고강도 4단계 거리두기 효과마저 떨어졌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감염병 전문가들은 사실상 코로나19 확진자 수 ‘0’을 만드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고 말한다. 이제는 기약 없는 코로나 종식을 기다리는 대신 코로나와 공존하는 방법을 모색하자는 취지의 ‘위드(With) 코로나’를 준비해야 한다는 주장이 점차 설득력을 얻는 이유다.

정부 역시 고령층의 90%, 성인의 80% 이상이 접종을 완료하는 시점에 위드 코로나로의 방역체계 전환을 검토한다는 방침이다. 지금처럼 확진자 발생을 억제하는 것보다는 위중증 환자 관리에 집중하는 방역 체계를 뜻한다. 다만, 위드 코로나로 전환해도 곧바로 사회적 거리두기와 마스크 착용 등의 방역수칙을 완화할 수는 없다.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은 방역체계 전환과 관련해 “예방 접종률을 최대한 10월 말까지 끌어올리고, 방역 및 역학 의료 대응체계를 체계화하는 등 준비 작업을 진행해야 위드 코로나로 전환 시 피해를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위드 코로나는 집단면역과 유사하지만 명확한 개념이 정해지진 않았기 때문에 사회적 논의를 통해 추가로 의미를 정립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홍윤철 서울대 예방의학과 교수는 “위드 코로나로의 대전환은 당연한 수순이지만 이를 실행하기 위한 전제조건에 대한 논의가 빠져 있다”면서 “병상과 의료 인력을 확보하는 의료체계적 준비와 확진자 및 밀접접촉자 관리를 위한 추적관리시스템 강화, 두 가지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감염병 전문가들은 “위드 코로나의 기본적인 전제 조건은 높은 백신 접종률이고 더 나아가 확진자 수가 많아졌을 때 중증환자를 집중적으로 치료하고 관리할 수 있는 의료 시스템이 유지돼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아울러, 당장은 방역체계 전환을 통한 공존의 길을 택하지만, 향후 ‘타미플루’와 같은 치료제가 나오면 일상으로 되돌아가는 길이 훨씬 더 가까워질 것이라고 봤다.

정형준 보건의료단체 정책위원장은 “위드코로나는 이제 코로나19가 팬데믹이 아닌 엔데믹(풍토병)이 된다는 가정 하에 접근하는 방식”이라며 “언제부터 위드코로나 전략을 시행하느냐보다 무엇을 준비하느냐가 더 중요하다. 이제는 방역 정책을 넘어 우리 사회가 갖고 있는 감염 질환 치료대응 능력이 본격적으로 도마 위에 오른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젠,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박민주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