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에 '악마의 비' 뿌려졌다…드론에 찍힌 '공포의 섬광'

러시아군이 우크라이나 동부 격전지 바흐무트에서 백린탄을 사용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6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국방부는 트위터에 화염에 휩싸인 도시를 찍은 영상 한 편을 올리면서 러시아가 바흐무트의 비점령 지역에 백린탄을 사용했다고 주장했다.


▲우크라이나 국방부가 러시아군이 동부 격전지 바흐무트에 백린탄을 사용했다는 의혹을 제기하며 올린 영상

이 영상을 분석한 영국 BBC 방송은 촬영 시점은 불분명하지만 장소는 바흐무트 도심 서쪽의 어린이 병원 인근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공격에 소이탄의 일종이 사용된 것으로 분석됐지만, 백린 사용 여부까지 특정할 수는 없었다고 덧붙였다.

드론으로 촬영한 듯한 영상에는 공중에서 소이탄으로 추정되는 폭탄이 섬광을 내며 비처럼 흩뿌려지는 모습이 담겼다. 도시 곳곳에선 폭발과 함께 연기가 치솟았고, 건물은 화염에 휩싸였다.

백린탄은 인(P)의 동소체인 백린을 원료로 쓴 폭탄이다. 조명탄·연막탄에 백린이 쓰이는 경우가 많지만, 인명 살상용 백린탄은 화재나 화염을 이용해 목표물을 파괴하는 소이탄의 일종이다. 산소와 접촉해 발화하면 엄청난 열과 함께 섬광·연기를 낸다.

사람 몸에 닿으면 뼈와 살이 녹는 심각한 화상으로 사망에 이르게 해 '악마의 무기'라 불린다. 인체에 달라붙은 채 연소가 시작되면 쉽게 꺼지지 않는다. 물도 소용 없고, 붕대를 감았다 제거하면 다시 불이 붙기도 한다.

민간인 거주 지역이나 민간인 밀집 시설에 대한 소이탄 사용은 국제법상 금지돼있다. 이런 금지 조항은 러시아, 우크라이나, 미국, 중국 등 거의 모든 주요국이 비준한 1949년 제네바협약과 1980년 유엔 특정재래식무기금지협약(CCW) 등에 들어가 있다. 하지만 백린탄의 경우 주 목적이 '연막 형성'에 있어 소이탄과 달리 국제규범 통제의 바깥에 있다.

우크라이나는 지난해 개전 초기부터 러시아가 마리우폴 포위 등 과정에서 민간 시설에 백린탄을 썼다고 비난해왔지만, 러시아는 줄곧 "국제 협약을 위반한 적 없다"며 부인했다.

BBC는 소이탄 공격을 받은 바흐무트에 대해 러시아가 수개월에 걸쳐 장악을 시도해온 격전지이며, 러시아 사망자만 수천명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이번 공격 소식은 러시아의 민간 용병기업 바그너 그룹의 수장 예브게니 프리고진이 탄약 부족 등 러시아 국방부의 지원 부족을 이유로 오는 10일 바흐무트에서 철수하겠다고 밝힌 이튿날 알려졌다.

<저작권자 ⓒ 뉴스젠,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우성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