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빚투'·'영끌' 폭탄 위험에도.. 2030 아파트 사고파..

2021년 서울 거래 41%가 30대 이하
대출 금리 상승도 집값 못 꺾어
당국 전세대출 규제 카드 임박
연말 주택 가격 결정지을 변수

▲ 3일 서울 성동구 달맞이봉공원에서 바라본 아파트 단지 모습. 뉴시스
수도권 주택가격 상승세가 소폭 둔화하면서 집값 약세전환에 대한 기대가 일각에서 나오고 있다. 하지만 이는 추석 연휴와 금융권 대출 규제 등의 영향에 따른 일시적인 현상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자고 나면 가격이 오르는 주택을 자산 증식을 위한 가장 유효한 수단으로 여기는 ‘영끌’ , ‘빚투’ 매수가 멈추지 않는 한 집값 하락 전환은 어렵다는 반응이다.


계속해서 높아지고 있는 주택담보대출(주담대) 금리와 조만간 발표될 전세자금대출 규제가 연말 주택가격 향배의 변수로 꼽힌다.


3일 한국부동산원 통계에 따르면 9월 넷째 주 수도권 아파트 매매가격은 1주일 전보다 상승폭을 줄였다. 3주 연속 상승폭 정체·둔화다. 주택가격 흐름에 1~2개월 선행하는 매매수급지수도 3주 연속 하락했고, 한국은행의 주택가격전망 소비자심리지수(CSI) 역시 5개월 만에 소폭 하락했다.

업계에서는 이런 현상의 주원인을 추석 연휴와 은행권의 주담대 금리 인상 및 한도 축소 등으로 진단한다. 또 시중금리가 최근 급격하게 오르고 있고, 전세대출 규제까지 더해질 예정이라 앞으로도 집값이 더 상승세를 키우기는 어려워 보인다. 그렇다고 하락 전환을 유인할 요인도 딱히 없어서 집값은 당분간 강보합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걱정되는 곳은 전세시장이다. 임대차3법 시행 이후 물량이 줄고 신규 입주가 감소하면서 전세불안이 가중됐는데, 금융당국이 가계대출 관리방안의 하나로 전세대출 제한 카드를 만지작거리고 있어서다. 이날 A은행의 서울 한 지점 관계자는 “규제 영향으로 전세자금대출을 아예 취급하지 않는 은행이 있어 풍선효과로 신규 접수가 크게 늘었다”며 “내년 6월 전세 만기인 대출자까지 미리 전화가 올 정도로 규제를 향한 두려움이 확산한 상태”라고 말했다.

좀처럼 줄지 않는 20∼30대의 아파트 매수 행렬도 집값 하락에 대한 기대감을 낮추는 요인이다. 이날 한국부동산원의 월별·연령대별 아파트 매매 현황을 보면, 지난 1∼8월 서울의 아파트 거래 중 30대 이하의 매수 비중은 41.8%로 1년 전 같은 기간 35.7%에서 6.1%포인트 증가했다.


이들이 ‘영끌’과 ‘빚투’로 신고가 아파트를 사들이는 형국이라 향후 상황 변동에 따라 가계와 시장 전체에 큰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높아진 대출 문턱도 계속해서 올라가고 있다. 은행권 대출 금리는 지난 한 달간 0.4%포인트가량 상승했다. 금리인상은 이런 광범위한 차주들에게 상당한 부담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금융권에 따르면 주요 5개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의 지난달 말 기준 주담대 변동금리(신규 코픽스 연동)는 연 2.981∼4.53% 수준이다. 한 달 전인 8월 말(2.62∼4.190%)과 비교해 하단과 상단이 각각 0.361%, 0.34%포인트 높아졌다.


은행들이 금융당국이 제시한 올해 가계대출 증가율 목표(6%)를 맞추기 위해 가산금리를 올리거나 우대금리를 줄여 실질적으로 고객들이 부담해야 하는 대출금리를 높인 영향이다. 대출한도도 크게 줄었다.

정부와 은행의 대출 조이기는 내년까지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최근 금융당국은 가계부채 증가율을 올해 6%, 내년 4%까지 낮추는 기조를 유지하기로 했다. 하지만 이 경우에도 집값이 잡힐지는 아무도 모른다는 게 중론이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오른 금리보다 집값이 더 많이 뛴다”며 “금리인상이나 대출규제는 정책 의도와 달리 무주택 실수요자를 타격할 수 있는 리스크가 있고, 무엇보다 집값은 공급과 세제에서 받는 영향이 더 크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뉴스젠,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박민주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