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짜고 한 짓" 이재명 발언 후폭풍...비명 "악수", 친명 "가능성 있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년 전 자신의 체포동의안 가결 사태를 두고 당내 일부 의원과 검찰이 "짜고한 짓"이었다고 한 발언이 정치적 파장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지난 5일 유튜브 ‘매불쇼’ 녹화방송에 출연한 모습.

비이재명(비명)계로 분류되는 전현직 의원을 비롯해 당내에서는 "악수 중의 악수", "당내 분열 조장"이라는 우려와 비판이 쏟아지는 상황이다. 반면 친명계에서는 "검찰과 내통까지는 아니어도 상당한 정보를 받았을 가능성이 있다"라고 하는 등 옹호에 나섰다.

지난 2023년 9월 이 대표에 대한 체포동의안이 가결됐을 당시 최고위원이었던 고민정 민주당 의원은 6일 오전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서 "(이 대표의) 그 발언은 바둑으로 치면 진짜 악수 중에 악수를 둔 것"이라며 "스스로 만들었던 여러 공든 탑들이 와르르 무너져 버리는 듯한 느낌이었다"라고 밝혔다.

고 의원은 "(이 대표가) 지금 정책 행보를 계속하고 있다. 정치권에서 정책을 이슈 선점하는 게 정말 어려운데 굉장히 잘해 나가고 있고 국민들도 경제에 대해 '민주당이 저렇게 하겠구나' 하고 쳐다보기 시작했다. 굉장히 좋은 시그널이고 또 당내 통합을 이루려는 행보들을 굉장히 많이 했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개인적 속내는 어떤 분노와 증오가 있을지는 모르겠으나 밖으로 국민들에게 보여지는 메시지는 국론이 분열돼 있는 대한민국을 통합시키는 지도자의 면모를 조금씩 갖춰가고 있고 노력하고 있다는 메시지를 주고 있다고 봤는데, 어제 그 발언으로 그 두 가지 공든 탑들이 다 가려지게 돼버릴 것 같아 걱정이 크다"라고 밝혔다.

고 의원은 또 "이 대표가 자기 추측이라고 말했기 때문에 우리가 사실 관계를 명확히 알고 넘어가지 않고서는 뭐가 진실인지 모르는 상황이 돼버렸다"라며 "침묵하면 진짜 민주당에 그런 뒷거래가 있다는 데 동의하는 게 된다. 말을 얹으면 얹을수록 당내 분열 혹은 여러 논란이 증폭될 수밖에 없다"라고 우려했다.

이어 "어떻게 해야 할까 고민이 많은데 이 대표가 그 뚜껑을 열어버렸기 때문에 사실 관계를 정확하게 짚고 갈 수밖에 없는 상황으로 내몰렸다"라며 "(사실 관계를 규명하다 보면) 블랙홀처럼 다 빨려들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대표의 사과를 요구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비명계 대선 주자로 꼽히는 김두관 전 민주당 의원도 이날 페이스북에서 "21대 민주당 국회의원 중 한 사람으로서 충격을 금할 수 없었다"라며 "국민통합을 시대정신으로 제시해 놓고 통합은커녕 당내 분열부터 조장하는 이 대표의 본모습은 무엇인가. 어제 발언을 공식 사과하시라"라고 촉구했다.


반면 이 대표의 발언을 옹호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이 대표 체포동의안 가결 당시 최고위원이었던 장경태 민주당 의원은 이날 오전 YTN 라디오 '뉴스파이팅'에서 "1·2차 체포동의안 과정에서 참 많은 괴로움이 있었고 묘하게 그런 시기가 겹치지 않았나 생각이 든다"라며 "내통까지는 아니어도 상당한 정보를 받았을 가능성이 있다"라고 밝혔다.


이어 "9월 중순 말쯤 체포동의안이 올라오기 전인 6월 정도부터 저도 들었다. '8월 위기설' 이런 식으로 당내에서 여러 가지 설들이 돌았다"라며 "저도 그러지 않길 바라지만 어찌 됐든 체포동의안 처리 과정에서 당내 갈등이 너무 극심하던 상황이었기에 그런 언짢은 표현을 하신 것 같다. 당시 당내에서도 서로 간 불신이 너무 팽배해지고 있었기 때문에 그런 추측이 있지 않았을까"라고 해석했다.

또 "그때 소위 비이재명계라고 하는 의원님들과 얘기해 보면 그래도 어떻게 검찰의 손아귀에 대표를 내놓냐고, 민주당의 역사와 정신으로 봤을 때 용납할 수 없는 일이라고 표현했기 때문에 (체포동의안이 가결됐을 때) 신뢰가 많이 무너지는 상황도 있었다"라며 "뒤에서 뒤통수를 맞은 것이기 때문에 저도 너무 충격이 컸다"라고 밝혔다.


2023년 9월21일 백현동 개발 특혜 의혹과 쌍방울그룹 대북 송금 의혹과 관련해 법무부가 국회에 제출한 체포동의안은 재석의원 295명 가운데 149명이 찬성해 가결됐다. 당시 표결에 참여한 민주당 의원 167명 가운데 최소 29명이 찬성표를 던졌다는 관측이 나왔다.

<저작권자 ⓒ 뉴스젠,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우성 기자 다른기사보기